본문 바로가기
학문/국재경영

국제화 기업의 일반적인 경향(진출지역의 다변화/진입방법의 고도화/진출제품의 다각화 예시 3가지)

by 쉽게 가르쳐주는 2023. 6. 6.

 

1.진출지역의 다변화

기업은 해외시장 진출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보통 심리적이나 지리적으로 가까운 국가부터 진출하게 돼.

국제화 과정에서는 문화와 정치경제적 환경이 유사한 국가부터 차례대로 진출하는 경향이 있어.

특히 해외직접투자의 경우, 초기에는 문화적으로나 지리적으로 유사한 국가에 우선적으로 진출하고, 경험을 쌓을수록 문화적이나 지리적 요인보다는 경제적 요인에 따라 진출 국가를 선택하게 돼, 이유는 유사한 시장 조건이 많을수록 기술, 마케팅, 인적 자원 등을 보다 용이하게 이전할 수 있기 때문이야.

이미 기업의 자회사가 진출한 국가에 투자하는 경향도 커

 

진출지역의 다변화 예시

- 한국의 음식점 체인 기업이 먼저 주변 아시아 국가로 진출한 후, 유럽, 북미 등 더 멀리 있는 국가로 다변화하는 경우

- 패션 기업이 주요 시장인 미국과 유럽뿐만 아니라 중동, 중남미 등 새로운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

- 자동차 제조업체가 선진국뿐만 아니라 신흥 시장인 중국, 인도, 브라질 등으로 진출하는 경우

 

2.진입방법의 고도화

기업은 해외시장 진출 방법을 단계적으로 고도화시키는 경향이 있어

-일반적으로 해외시장에 대한 지식과 정보 부족과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회피하기 위해 비정규적 수출, 대리인을 통한 수출, 현지 판매, 현지 생산 등의 단계를 거쳐 진입 방법을 고도화시키는 편이야

-기업은 해외시장에서 경험과 지식을 점진적으로 얻으면서 기업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해외시장 진출을 발전시키는 거야, 이는 기업이 환경에 적응하며 점진적으로 해외시장에 진출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볼 수 있어.

-소수의 기업은 자원과 같은 기업의 능력이 크고, 진출하려는 시장이 안정적이고 동질적이어서 위험이 적거나, 이미 시장 경험이 풍부하고 자원 투입에 따른 위험 부담이 낮은 경우에는 처음부터 비약적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하기도 해. 

 

진입방법의 고도화 예시

- 처음에는 수출을 통해 시장을 개척한 후, 현지 대리인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방식으로 진입을 시작하고, 이후에는 직접 현지 판매 법인 설립을 통해 직접적인 영업활동을 진행하는 경우

- 기존에는 라이센스를 통해 기술 이전을 하다가, 기술력을 쌓아 현지에서 생산하는 형태로 진입 방법을 고도화하는 경우

- 해외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합작투자를 하다가, 성과를 얻어 직접 현지 법인을 설립하여 현지에서 운영하는 경우

 

3.진출제품의 다각화

기업은 가장 경쟁력이 높은 제품이나 사업부터 해외시장에 진출하여 실패 위험을 줄이고, 현지시장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지속적으로 축적한 후에 경쟁력이 낮은 제품이나 사업까지도 진출하는 경향이 있는데 특정 국가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쌓이면 해외시장 진출에 따른 비용이 감소하기 때문이야.

-기업은 경쟁우위가 높은 제품부터 현지 판매나 현지 생산을 하게 돼.

-임금 상승, 환경 규제, 환율 하락 등의 요인으로 인해 입지 우위가 약화될 경우에는 비교적 열위의 제품이나 사업부터 해외합작투자의 형태로 진출하는 경우도 있어.

-진출제품의 다각화가 반드시 경쟁력의 순서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만은 아니야.

-기업은 전반적으로 점진적인 과정을 거쳐 해외시장을 확대하고 진입을 고도화시켜 나가는 동시에 경쟁우위가 높은 제품부터 현지 생산한다고 볼 수 있어. 하지만 기업의 국제화 과정은 순서와 단계가 뒤바뀌는 경우도 많아

 

진출제품의 다각화 예시

--전자제품 제조업체가 처음에는 스마트폰을 주력 제품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하고, 이후에는 스마트워치, 스마트홈 기기 등 다양한 전자제품으로 다각화하는 경우

- 식품 회사가 먼저 가장 인기 있는 제품인 커피를 진출시킨 후, 차, 초콜릿, 스낵 등 다양한 식품 카테고리로 다각화하는 경우

- 의류 브랜드가 먼저 남성 의류로 시장에 진출한 후, 여성 의류, 어린이 의류, 악세서리 등 다양한 의류 카테고리로 다각화하는 경우

 

예시와 함께 알아보니 조금 더 쉽지?

 

오늘도 고생 많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