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발달의 시작
1. 수정
- 한 개체의 생명은 두 개의 생식세포인 정자와 난자가 만나는 걸로 시작돼.
- 난자 안에서는 정핵과 난핵이 합쳐져 완전한 핵이 돼. 그때야 비로소 46개의 염색체가 생겨나.
- 이 과정을 수정이라고 하고, 수정된 난자를 수정란이라고 해. 그게 곧 생명체의 시작이야.
2. 유전
- 생물은 종에 따라서 고유한 특징을 나타내는 설계도를 가지고 있어.
- 발생하고 성장하며 형질을 나타내고, 양친으로부터 각자의 설계도를 물려받아 자손에게 전달돼.
- 양친과 자손 사이에는 각자의 차이가 있어서 완전히 똑같은 개체는 사실상 없어. 이 차이를 변이라고 해.
3. 성의 결정
- 태아의 성은 성염색체에 의해 결정돼.
- 난자는 22개의 체염색체와 성염색체인 1개의 X염색체를 가지고 있고, 정자는 22개의 체염색체와 1개의 X염색체 혹은 1개의 Y염색체를 갖고 있어.
- 난자와 정자가 결합할 때 X염색체를 가진 정자와 난자가 합쳐지면 태아는 여성이 돼, Y염색체를 가진 정자와 난자가 합쳐지면 태아는 남성이 돼.
- 이 원시 기관이 나중에 남성이 되든 여성이 되든 테스토스테론 수준에 따라 결정돼.
* 태내기
태내기는 임신 중에 태아가 자궁에서 출생까지의 과정을 말해
일반적으로 임신 기간은 약 40주이며, 이 기간 동안 태아는 자궁 내에서 성장하고 발달하겠지?
1. 착상기
- 수정란은 세포분열을 시작하면서 조금씩 자궁 쪽으로 움직여.
- 그리고 수정 후 약 일주일이 지나면 낭배를 형성하고 자궁내막에 박혀. 이걸 착상이라고 해.
2. 배아기
- 배아기는 수정 후 약 3주에서 8주까지를 의미해.
- 이 시기의 배아는 태반의 발달이 아직 완전하지 않아서 태반을 통한 영양 공급은 불가능해.
- 그래서 배아는 영양아 세포가 자궁내막을 파괴하고 탐식하는과정을 통해 영양분을 받아.
- 자궁내막은 다량의 단백질, 지방질, 당분 등을 갖고 있고, 소량의 칼슘, 철분, 비타민 등도 함유돼서 초기의 배아는 충분
한 영양을 얻을 수 있어.
3. 태아기
- 태아기는 수정 후 2개월부터 출생 전까지를 의미해.
- 이 시기에는 배아기에서 형성된 여러 기관이나 신체의 구조가 더욱 정교해져.
- 즉, 신체 기관들이 혈관을 통해 연결되고 뇌의 크기도 급격히 증가해.
4. 출산
- 자궁 수축과 복압의 힘으로 태아와 태반이 모체의 자궁 밖으로 밀려나는 과정을 말해.
- 출산이 가까워지면 태아는 복부 하단으로 내려가고 머리 부분이 골반으로 들어가.
- 출산이 임박하면 자궁수축이 더 심해지면서 진통이 심해져. 이때 자궁구가 열리면서 난막의 일부가 떨어져 혈액이 섞
인 분비물이 나와. 이를 이슬이라고 해.
- 가족, 특히 남편은 따뜻한 배려로 임부가 안정된 상태에서 분만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해.
- 또한 가능하면 자연적인 정상분만을 지향하는 게 중요해.
- 무통분만이나 유도분만 등은 마취제나 진통제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태아에게 가벼운 신체적이나 정신적 손상을 줄 수도 있으니까.
'학문 >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기/영아기/유아기/아동기 특징 (0) | 2023.05.30 |
---|---|
5가지 발달의 원리와 예(상관성/연속성/개별성/순서성/적기성) (0) | 2023.05.30 |
사고의 특징 및 윌러스의 창조적 문제해결(위계성/전형성/추리/기능적 고착) (1) | 2023.05.28 |
언어 글말의 이해 및 언어 산출과정?(의미점화효과/단어우월성 효과/글자의 친숙성/맥락효과) (0) | 2023.05.27 |
언어의 정의 및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