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기 특징
- 머리에는 숫구멍이라는 부드러운 부분이 있고, 두개골과 두뇌가 아직 미성숙한 상태야.
- 신생아는 젖을 먹고 울고 목욕하는 시간을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 잠을 자.
- 잠을 잘 때에는 팔과 다리를 가슴에 꼭 붙인 자세로 잠.
*영아기 특징
- 생후 2주부터 약 2세까지를 말해.
- 영아들은 엎치기, 기어 다니기, 앉기, 서기, 걷기를 반복 활동을 통해 배워.
- 신체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면서 환경과의 접촉을 통해 인지능력과 정서표현을 발달시켜.
- 심리적이고 사회적인 적응 방식을 발달시켜 나가.
- 영아기는 일생에서 가장 빠른 신체적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야.
- 특히 생후 6개월까지의 발달이 가장 빠르고, 그 이후로는 조금씩 느리게 진행돼.
- 출생 시의 신장은 남아는 평균 51.4cm, 여아는 50.5cm인데 4개월이 되면 남아는 약 65.1cm, 여아는 60.0cm로 늘어나.
- 8개월 경에는 남아는 약 72.1cm, 여아는 70.3cm가 되고, 1년 경에는 남아는 77.8cm, 여아는 76.2cm로 자래어.
- 출생 후 2년 경에는 남아는 87.9cm, 여아는 86.9cm가 돼.
- 체중은 출생 시 평균 3.4kg인데 1년 후에는 약 3배로 증가하고, 2년 후에는 거의 4배에 가까워져.
- 영아기의 골격 발달에서는 두개골이 발달하면서 9~12개월이 되면 숫구멍이 닫혀 뇌를 보호하게 돼.
- 태아기부터 준비된 치아는 유치와 영구치로 나눠져서 유치는 빠져서 새로운 영구치로 교체되고, 나머지 영구치와 함
께 평생 보유하게 돼.
- 이러한 발육과정에서 개인차가 있을 수 있어.
*유아기 특징
대략 2세 말에서 6세까지를 아동기 또는 학령기라고 해.
1. 유아기의 특징
- 신체적 발달은 영아기에 비해 다소 느리지만 경험과 연습을 통해 점진적으로 발달하게 돼.
- 언어발달과 함께 학습, 지각, 추론, 기억 발달을 통해 타인과의 접촉범위가 넓어지고 관계의 질과 양이 향상돼.
- 이러한 과정은 사회화에 큰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행동양식과 가치체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2. 신체와 운동능력의 발달
- 만 2세가 되면 신장은 약 83.5cm, 체중은 약 11.84kg로 자라고, 5세가 되면 신장은 109.6cm, 체중은 약 19kg 정도가 돼.
- 신체 발달로 인해 근육과 골격의 발달이 이루어지며 운동능력이 점차 분화되고 정교해져.
- 운동능력의 발달 과정에는 균형잡기, 기어오르기, 걷기, 뛰기, 기구 사용, 대소변 통제 등이 포함돼.
- 자조기술은 식사나 자전거 타기 등에서 두뇌와 신체 각 부위 간의 협응운동 기술을 의미해.
- 2~3세의 유아는 걷기, 뛰기, 멈추고 도약하기 등을 통해 균형 잡기와 방향 잡기, 운동능력을 발달시켜.
- 3세 이후의 유아는 세발 자전거를 탈 수 있고, 5~6세가 되면 두발 자전거를 타며 종합적인 운동 협응을 할 수 있어.
*아동기 특징
- 7세에서 12세까지를 아동기로 하며, 가정에서 학교로 중심이 옮겨지는 시기인 학동기를 말해.
- 7세의 남아의 평균 키는 120.4cm, 체중은 22.57kg이고, 여아의 평균 키는 119.4cm, 체중은 21.96kg야.
- 12세에 가까워지는 아동의 경우 남아의 평균 키는 144.9cm, 체중은 38.62kg이며, 여아의 평균 키는 150.9cm, 체중은 43.14kg이야.
- 아동기의 신체적 발달은 일반적으로 완만한 상승 곡선을 보이는 경향이 있어.
- 이 시기의 운동 발달은 이미 획득한 운동 기술과 근육의 협응체계가 더욱 정교해지는 특징이 있어.
'학문 >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8단계 (1) | 2023.05.31 |
---|---|
지각발달의 특징과 발달이론(첨가,분화이론) (0) | 2023.05.31 |
5가지 발달의 원리와 예(상관성/연속성/개별성/순서성/적기성) (0) | 2023.05.30 |
태내기의 특징과 과정(착상기/배아기/태아기/출산) (6) | 2023.05.29 |
사고의 특징 및 윌러스의 창조적 문제해결(위계성/전형성/추리/기능적 고착) (1) | 2023.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