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문/심리학개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8단계

by 쉽게 가르쳐주는 2023. 5. 31.

안녕! 오늘은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에 대해 이야기해볼거야

 

인간의 삶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며, 각 단계에서의 주요 과제와 도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개념이야

 

그럼 들어가보자!!

 

에릭 에릭슨(1902–1994)

1. 에릭슨은?

- 에릭 에릭슨은 심리사회적 발달에 관한 이론을 제시했어.

- 전생애 발달에 대해 최초로 이론을 제시했고, 죽음에 이르는 전 생애를 8단계로 나누어 설명했어 그리고 아동의 발달은

- 아동 자신과 주변의 중요한 인물, 그리고 사회 문화적 맥락과의 상호작용에서 일어난다고 보았어.

- 개인의 성격 형성에 있어서 개인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가 생물학적 욕구보다 더 중요하다고 여겼어.개인이 새로운 발달 시기에 획득한 능력이나 관심이 상호작용하고 있는 사회의 요구와 얼마나 일치하는지에 따라 개인의 적응이 영향을 받기 때문이야.그래서 그의 이론은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이라고 불려

- 청소년기 이후에도 변화와 성장이 계속된다고 보았어 청소년기, 중년기, 그리고 노년기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본질이 다르기 때문에 이들은 심리사회적으로도 다른 발달 단계에 있다고 설명했지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8단계

1. 신뢰감 대 불신감 (1세)
1세 때는 신뢰감 대 불신감이 중요해. 부모가 유아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친밀한 태도로 지속적이고 일관된 행동을 보여주면 신뢰감을 형성하고 이를 일반화해. 욕구가 충족되면 기본적으로 신뢰감을 발달시키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외부 세계를 두려워하는 불안정한 성격을 갖게 돼.

 

2. 자율성 대 수치심 (2세)
2세 때는 자율성 대 수치심이 나타나. 아이가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고 성취하는 동안 자신의 힘으로 무언가를 할 수 있다는 성취감과 자부심을 갖게 돼. 하지만 경험을 좌절하면 아이는 자신의 능력에 대해 열등감을 느끼고 자부심보다는 수치심을 느끼게 돼. 의지를 갖을 수 있는 자아의 힘이 생기게 돼.

 

3. 주도성 대 죄책감 (3~5세)
3세에서 5세까지는 주도성 대 죄책감이 중요해. 아이가 사회적 상호작용과 학습을 통해 동료들과 협력하고 조화롭게 지낼 수 있게 되면 주도성을 갖게 돼. 반면, 아이가 타인과의 관계에서 문제가 생기거나 통제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하면 죄책감을 느끼게 돼. 이 단계에서는 학교나 가정에서의 교육적 환경이 중요한 역할을 한단 말이야.

4. 근면성 대 열등감 (6세 이후)

6세에서 11세까지는 업무 도전 대 업무 중립이 나타나. 아이가 능력과 관심을 개발하고 도전적인 환경에서 성과를 거둘 수 있다면, 자신감과 열성을 갖게 돼. 그러나 불만족스럽거나 어려움을 겪을 때는 업무를 피하거나 중립적으로 대처하게 돼. 학교나 동료들과의 경험이 이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단 말이야.

 

5. 자아정체감 형성 대 역할 혼미 (청소년기)
12세에서 18세까지는 정체성 확립 대 정체성 혼동이 중요해. 청소년은 자아의 일관성과 미래에 대한 목표를 발전시키고, 진로 선택과 사회적 역할에 대해 고민하게 돼.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경우에는 성숙하고 독립적인 개인으로 성장할 수 있어. 반면, 모호함이나 역할 충돌이 발생하면 정체성 혼동이 생기고, 자아의 일관성을 찾기 어려워질 수 있어.

 

6. 친밀감 대 고립감 (성인기 초반)
19세에서 40세까지는 친밀감 형성 대 고립감이 중요해. 청년은 성공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가족이나 친구와의 연결감을 느낄 수 있어. 이 단계에서는 사랑과 친밀한 관계를 구축하며, 자신과 다른 사람 사이의 상호의존성을 이해하게 돼. 그러나 이 단계에서도 고립감이나 연결의 부족으로 인해 사회적인 불안을 느낄 수 있어.

 

7. 생산성 대 침체성 (성인기 중반)
40세에서 65세까지는 생산성 대 스타그네이션이 중요해. 중년기는 자아의 성취와 사회적으로 유용한 일을 통해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있어. 가족, 직업, 사회 기여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성공을 경험할 수 있어. 그러나 업무의 실패, 가족 문제, 또는 자아 실현의 부족으로 인해 스타그네이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8. 통합성 대 절망감 (노년기)
65세 이후에는 안정성 대 절망이 중요해. 노년기는 회고와 성취감을 통해 자기 만족과 평온함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 삶을 평가하고 다른 사람과 나누는 경험을 통해 안정성을 찾을 수 있어. 반면, 이 단계에서 감소하는 육체적 능력, 사회적 연결의 감소 등으로 인해 절망감이나 불안감이 생길 수 있어.

 

이렇게 총 8단계로 나누어진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은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며, 다양한 생애 단계에서의 과제와 도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줘.

 

-끝-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은 우리가 삶의 여러 단계를 경험하며 어떻게 성장하고 발전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큰 역할을 하게 도와주지?

 

이 이론을 통해 우리는 자아의 형성, 관계 형성, 자기 실현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서 인간의 발달을 살펴볼 수 있어

 

각 단계에서의 과제와 도전을 이해하면서, 우리 모두가 더욱 의미 있는 인생을 살아갈 수 있기를 바래 

 

오늘도 너무 고생 많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