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안녕!!
이번에 우리는 생물학적 성과 심리사회적 성 그리고 차이점에 대해 알아볼거야
성에 대한 이야기는 우리 사회에서 끊임없이 이야기되는 주제 중 하나지?
이 글에서는 생물학적 성과 심리사회적 성이 무엇인지, 그들 간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도록 할게
생물학적 성 VS 심리사회적 성
1. 생물학적 성과 심리사회적 성의 차이
- 생물학적 성: 생식기능, 호르몬, 해부학적 차이를 포함해
- 심리사회적 성: 성과 관련된 학습된 행동과 태도를 지칭하는 심리적 현상이야
2. 심리사회적 성
- 성 정체성: 사회 문화적 기대에 의해 자신을 남성 또는 여성으로 인식하게 돼
- 아주 어릴 때부터 성 정체성을 알아차리고, 해당 성에 맞게 행동하게 돼
- 특정 문화에서는 남성과 여성에게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특징과 행동에 대한 고정관념이 있어
3. 생물학적 성
- 태아 발달 후 약 6주부터 테스토스테론 호르몬의 존재 여부에 따라 남아 또는 여아로 발달해
- 뇌의 구조적 차이는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데, 전두엽 영역은 사회적 행동과 정서적 기능 조절을 담당하며 여성이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크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2002 웰본 연구)
- 남성과 여성 사이의 일부 행동 차이는 생물학적 원인에 따라 발생한다고 보는 거야
-끝-
이렇게해서 생물학적 성과 심리사회적 성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어
성은 우리 삶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 개념이야 생물학과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복잡한 요소들이 작용하지
우리는 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다양성을 인정하고 상호 존중하는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겠지?
오늘도 고생 참 많았어
'학문 >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이트 이후 신프로이트 학파 특징 및 주요학자 (1) | 2023.06.02 |
---|---|
성격의 정의와 성격의 결정요인(환경적/생물학적 요인) (1) | 2023.06.01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8단계 (1) | 2023.05.31 |
지각발달의 특징과 발달이론(첨가,분화이론) (0) | 2023.05.31 |
신생아기/영아기/유아기/아동기 특징 (0) | 2023.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