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에 대한 이해는 우리가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고 자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성격은 우리의 독특한 특성과 일관된 행동 양식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지
이번 글에서는 성격의 정의와 결정 요인에 대해 살펴볼거야
1. 성격의 정의
- 성격은 개인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나타나는 독특하고 일관성이 있는 인지적이고 정동적인 행동 양식을 의미해.
- 알포트(Allport, 1937)는 성격을 "환경에 대한 개인의 독특한 적응을 결정하는 개인 내의 정신적ㆍ신체적 체계의 역동적 조직"으로 정의했어.
- 매디(Maddi, 1996)는 성격을 "사람의 심리적 행동에 있어서 공통성과 차이를 결정하는 일련의 안정된 경향성과 특성"으로 설명했어. 이러한 심리적 행동은 시간에 따른 연속성을 가지며, 어떤 순간의 사회적ㆍ생물학적 압력의 결과로 이해하기 쉽지 않아.
2. 성격의 결정 요인
생물학적 요인
성격은 뇌의 작용에 의해 선천적인 기질과 유전적인 영향을 받아.
- 알포트와 아이젱크는 뇌의 작용과 관련하여 성격의 개인차를 연구했어.
- 쌍둥이 연구를 통해, 일란성 쌍둥이가 이란성 쌍둥이보다 유사한 정서적 반응, 활동량, 적응성, 사회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알아냈어.
- 같은 유전인자를 더 많이 공유하는 경우, 환경적인 영향과 관계없이 성격이 더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져.
환경적 요인
성격은 환경적 경험과 자극에 의해 수정될 수 있어.
- 부모나 가족은 신생아의 성격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 자신이 속한 사회의 제도, 문화, 관습도 성격 형성에 영향을 주고, 동일한 제도나 문화권에 속해 있더라도 개인의 경험은 다를 수 있어.
생물학적 요인과 환경의 상호작용
성격은 생물학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돼.
- 성격은 타고난 유전적 조건과 성장하면서 경험하는 환경적 조건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돼.
성격 연구방법
- 성격에 대한 연구는 임상연구법, 실험연구법, 상관연구법 등이 있어
- 심리학의 다른 분야처럼 다양한 방법을 사용해 과학적으로 접근하고 연구할 수 있어.
-끝-
성격은 이처럼 생물학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돼
최근 연구에 따르면 뇌의 작용과 유전적인 영향도 성격에 영향을 미친다고하네?
오늘도 너무 고생 많았어

'학문 >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특징 (2) | 2023.06.02 |
---|---|
프로이트 이후 신프로이트 학파 특징 및 주요학자 (1) | 2023.06.02 |
생물학적 성과 심리사회적 성의 차이 (0) | 2023.06.01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8단계 (1) | 2023.05.31 |
지각발달의 특징과 발달이론(첨가,분화이론) (0) | 2023.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