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문/심리학개론

5가지 발달의 원리와 예(상관성/연속성/개별성/순서성/적기성)

by 쉽게 가르쳐주는 2023. 5. 30.

발달원리 예시

발달심리학의 문제는 여러가지가 있지 물론 하지만 주요 문제는 다음과 같아.

 

인간발달은 연속적인지 비연속적인지?

발달은 하나의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거나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는지?

천성과 양육이 어떤 상대적 영향력을 가지는지?

 

흥미롭지?

 

그럼 발달의 원리를 들어가보자!


*5가지 발달의 원리

1.  상관성

 

인간은 자라면서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지적 특성 등이 상호관련성을 지니고 변화해.

 

다시 말하면 인간의 변화는 독립적으로 일어나지 않아. 

 

이를 발달의 상호관련성이라고도 해. 예를 들면 신체 발달이 상관성을 지니기 때문에 지적 발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그렇기에 신생아의 지능은 운동 발달을 통해 측정할 수 있어.

 

신체 발달과 지적 발달 사이의 상관성 예시로 신체적 능력이 개선됨에 따라 어린이가 더 복잡한 운동을 할 수 있고, 지적 작

업도 더 잘 수행할 수 있어.

 

예를 들어, 놀이터에서 뛰고 놀면서 신체적인 민첩성과 균형감각이 향상되면, 그 아이는 숫자나 문자를 더 잘 이해하고 수

학 문제를 더 쉽게 풀 수 있게 될 거야.

 

2. 연속성

 

발달의 변화는 점진적으로 일어나.

 

인간은 자랄수록 목을 가누는 것부터 스스로 학습하며 할 수 있는 것들이 점차 늘어나.

 

하지만 중년기에 접어들면 신체적 능력이나 지적 능력 등이 감소하게 돼.

 

이것을 발달의 연속성이라고 말해.

 

아기가 처음에는 단어를 말하지 않고 소리를 내며 의사소통을 시작하다가 점차적으로 단어를 발음하고 의미를 이해하

게 돼. 

 

이렇게 아이가 말하는 능력이 점진적으로 발달하고 복잡한 문장을 구사할 수 있게 되는 거지.

 

3. 개별성

 

인간의 발달은 연속성을 가지면서도 개별적인 차이를 보여.

 

모두가 같은 순서대로 발달하는 건 아니야.

 

태어나면서부터 각자 타고난 능력 때문에 발달 속도나 변화의 크기 등에 차이가 있어. 

 

그래서 아이마다 말을 하는 시기도 다를 수 있어.

 

동일한 나이의 아이들 중에서도 어떤 아이는 더 빠르게 독서 기술을 습득하고 더 복잡한 문학 작품을 이해할 수 있어. 

 

이건 각 아이의 개별적인 학습 경험, 독서 관심도, 학습 스타일 등에 따른 발달 차이 때문이야.

 

4. 순서성

 

신체 발달은 일정한 방향이나 순서를 따라 변화해.

 

머리부터 발끝까지의 방향이나 중추신경에서 말초신경으로의 방향, 온몸을 이용한 전체에서 부분으로의 운동 순서 등이 그렇지.

 

아기가 먼저 머리를 들어올리고, 뒤집어지고, 기어다니며, 앉고, 서고, 걷게 되는 순서가 있어. 

 

이렇게 순서대로 발달하는 건 신체의 다양한 근육 그룹을 사용하고 제어하는 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발생하는 거야.

 

5. 적기성

 

결정적인 시기를 말해. 인간은 적절한 시기에 학습하지 않으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

 

출생 후 1세 이전에 애착을 형성해야 한다고 보는 게 바로 적기성이야.

 

애착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타인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될 수 있어.

 

애착 형성 단계에서 적절한 시기에 유아가 안전하고 안정된 환경에서 안정감과 신뢰를 형성하는 게 중요해. 

 

이 기간을 놓치게 되면 유아는 신뢰를 형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끝-

 

대부분의 지적 장애인이나 심리적인 문제가 있는 사람들을 보면

 

부모가 발달의 원리에 맞는 역할을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야

 

특히 난 적기성이 중요하다 생각해 애착형성을 꼭! 꼭! 이루어내야해

 

그럼 오늘도 너무 고생 많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