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접투자의 전략적 동기는 매우 다양한데, 이러한 동기들은 서로 상호 배타적이지 않고 복합적으로 발생한다고 볼 수 있어. 그럼 들어가자!!
*해외직접투자의 전략적 동기 4가지
1.새로운 시장 개척
기업의 성장과 수익성을 높이는 게 가장 대표적인 동기야. 기업이 직접 시장에 진출하는 건 제품을 현지에서 직접 판매하고 마케팅 활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기 때문이지.
또한, 시장의 규모가 크거나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면 해외 직접투자를 고려해볼 만해.(현지까지의 운송비가 많이 드는 경우에도 직접 투자가 유리할 수 있어.)
2.자원 추구
자원 추구를 위해 해외에 투자를 할 수도 있어. 예를 들어, 원유, 철광석, 나무, 커피 등을 사용하는 기업들은 그 자원을 직접 채굴하고 개발하거나 가공하기 위해 해외에 직접 투자해. 이렇게 하면 원자료의 안정적인 공급을 확보하고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어. 또한 기술정보도 습득할 수 있어서 유리할 때가 많아.
3.생산의 효율성
생산의 효율성을 추구하기 위해 해외 투자를 하는 경우도 있어. 운영 비용을 절감하거나 전략적 위치를 고려해 전 세계적으로 비용 효율성을 달성하려는 목적으로 해외 직접투자를 선택하는 거야.
하지만 생산 비용, 조립 비용, 운송비, 관세, 환율 등 환경 요인에 대해 적극적으로 알아봐야겠지?
4.경쟁 기업 대응
경쟁 기업의 선도적인 행동에 대응하기 위해 해외 투자를 선택하는 경우도 있어. 경쟁 기업이 해외로 진출하거나 자기들의 핵심 시장에 외국 기업이 진입하는 경우, 기업들은 방어적으로 해외 직접투자를 하기도 해.
-끝-
이렇게 다양한 동기들이 있어서 기업들이 해외에 직접 투자를 하게 돼. 첫 줄에 말했듯 이러한 동기들은 단독으로 나타나기보다는 종합적으로 고려되는 경우가 많아. 저번 시간에 분량이 넘 많아서 이번엔 짧게 써봤어!

'학문 > 국재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란? M&A의 장단점과 인수목적에 따른 5가지 유형 (0) | 2023.06.14 |
---|---|
기업의 합작투자 선호 이유 및 파트너 선정 7가지 기준 (0) | 2023.06.14 |
해외직접투자 이론 5가지(독점적 우위/내부화/절충/제품수명주기/과점적 반응) (0) | 2023.06.13 |
라이센싱이란? 라이센싱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3.06.12 |
신용장(L/C, letter of credit)에 대해 알아보자! 신용장 거래 과정 (0) | 2023.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