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눈 앞의 세상을 어떻게 인식할까?
현실을 경험하고, 소리와 향기를 감지하지
그런데, 그 감각들은 어떻게 우리에게 전달되고 해석하는 걸까?
오늘은 지각과정에 대해 요약 정리를 해봤어
*지각과정
감각기관을 통해 수집된 감각정보들을 선택하고 조직화하고 해석하는 과정이야.
1. 주의와 그 기능
- 선택적 주의
각 순간에는 한 가지만 경험할 수 있어. 이를 선택적 주의라고 해.
- 지각적 착각
우리는 감각 정보를 여과하고 의미 있는 방향으로 지각적으로 추론해.
2. 모양 지각
(1) 지각 조직화
주의를 집중해서 관심 대상을 선택하면 그 대상을 구성하는 요소를 큰 단위로 묶는 작업이야.
- 최선의 법칙: 특정 대상을 최대한 좋은 형태로 경험하려는 경향성.
- 완결의 법칙: 주어진 자극 배열에 틈이 있으면 그 틈을 메워 하나의 통합된 형태로 지각하려는 경향성.
(2) 집단화의 원리
- 인접성의 법칙: 자극을 구성하는 여러 구성요소 중 서로 가까이 위치한 것끼리 묶는 경향성.
- 유사성 법칙: 비슷한 속성을 가진 요소끼리 묶는 경향성.
- 연속성 법칙: 변화나 비연속성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묶음의 원리. 최선의 법칙으로 분류 가능.
(3) 전경-배경 분리
선택된 대상을 전경과 그 배경으로 구분하는 경향성을 형태주의 심리학자들이 전경-배경 분리라고 해.
3. 지각 항등성
친숙한 대상의 크기, 모양, 색깔은 그 대상을 바라보는 각도나 거리, 조명의 변화에도 변하지 않는 현상이야.
4. 깊이 및 거리 지각
우리는 대상까지의 거리와 깊이를 매우 정확하게 지각해. 이는 여러 가지 단서를 이용해 깊이를 지각하는 거야.
(1) 양안 단서
두 눈 사이의 수평 간격(약 6.3cm) 때문에 각 눈에 맺히는 상은 조금씩 다를 수 있어. 두 눈에 맺힌 시야의 차이를 야안 부등 또는 망막 부등이라고 해.
(2) 단안 단서
양안 단서는 거리 변화도 선형원근 원리, 중첩, 상대적인 높낮이도 깊이 지각의 단서로 이용돼.
5. 방향 및 움직임 지각
(1) 방향 지각
물체의 방향 판단은 중앙에 위치한 가상의 눈을 중심으로 그 방향을 판단해.
(2) 움직임 지각
망막 위에서 벌어지는 상의 위치 이동이 그 상을 투사한 물체가 움직이고 있다는 신호야.
-끝-
오늘도 너무 고생 많았어!!
어려운 말들이 많겠지만 계속공부해나가보자

'학문 >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적 조건 4가지(파블로프의 개/빈도/근접성/일관성/소거/자발적회복) (0) | 2023.05.22 |
---|---|
학습의 특징(둔감화/민감화/연합학습/비연합학습) (0) | 2023.05.22 |
미각의 특징 촉각의 특징 (0) | 2023.05.21 |
청각의 특징 후각의 특징 (0) | 2023.05.20 |
시각기관의 특징과 시각처리 순서(초자액/망막/각막/수양액/수정체/모양근) (1) | 2023.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