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은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감각 중 하나지?
시각을 통해 우리는 주변의 세계를 인식하고 이해하며, 일상 생활에서 많은 정보를 얻어
이러한 놀라운 능력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부분에 대해 알아볼거야
그럼 시작해볼게!

* 시각기관의 특징
- 시각기관은 인간의 감각 중 가장 섬세해
- 시각은 빛에 반응하는 감각이야.
- 우리의 시각체계는 눈, 뇌의 여러 부분, 그리고 눈과 뇌 사이의 경로로 구성돼 있어.
- 빛은 눈으로 들어와서 각막, 수양액, 렌즈, 유리액을 거쳐 망막에 도달해야 해.
-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은 동공의 크기로 조절돼.
- 동공은 눈 앞에 있는 작은 구멍이고 홍채에 의해 형성돼.
- 홍채는 반지 모양의 근육으로 수축하거나 이완하여 동공의 크기를 조절해.
- 우리 눈의 색깔은 홍채의 색깔과 일치해. (푸른 눈, 갈색 눈 등)
* 망막
- 안구 뒤에 있는 얇은 막처럼 생긴 조직이야.
- 대상으로부터 오는 빛의 일부가 눈으로 들어와 망막에 상을 형성해.
- 망막은 빛이 신경 에너지로 변환되는 곳이라 중요해.
- 망원경의 렌즈처럼 빛을 굴절시켜.
- 광학적인 이유로 망막의 상은 상하가 반전돼.
- 망막에는 추상체와 간상체라는 수용기 세포가 있어 신경반응을 일으키는데, 컴퓨터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를 처리하는 것과 비슷한 역할을 해.
- 망막에는 추상체와 간상체라는 수용기 세포가 있어 신경반응을 일으키는데,
- 추상체는 빛이 강할 때 색상 구별에 중요한 역할을 해요. 반면에 간상체는 빛이 약할 때 주변 시각처리에 중요한 역할을 해.
* 시각처리 순서
[빛 → 수용기 세포(추상체, 간상체) → 양극세포 → 신경절 세포 → 시신경]
- 간상체나 추상체에 빛이 도달하면 화학적인 변화가 일어나 양극세포를 흥분시키는 신경 신호가 생성돼.
- 양극세포는 다시 신경절 세포를 흥분시키는데, 신경절 세포에서 나오는 축색은 시신경을 이루고 대뇌로 정보를 전달해.
- 한쪽 눈에는 거의 백만 개의 신경 섬유가 있어서 시신경을 통해 전달되는 정보의 수는 거의 백만 개에 가까워.
- 대부분의 추상체는 망막 중심부인 중심와에 모여있어. 중심와에는 간상체는 없고 추상체만 존재해.
- 추상체는 자신의 정보를 시각피질로 전달하기 위한 전용 양극세포들이 할당돼 있는데, 시각피질의 많은 부분은 중심와로부터의 정보 처리를 위한 영역이야.
- 추상체는 세밀한 것을 탐지할 수 있지만, 간상체는 밀도가 낮고 전용 회선이 없어 세밀하게 볼 수 없어.
- 망막의 주변부에는 간상체가 훨씬 많아서 책을 읽을 때 응시하는 지점 주변의 글씨는 흐릿하게 보여.
- 간상체는 색을 탐지하지 못하지만 추상체는 색을 볼 수 있어. 그래서 희미한 불빛 아래에서 민감한 것은 간상체야.
- 어두운 곳에서는 암적응이 일어나 동공이 확대되어 망막 주변부의 간상체에 더 많은 빛이 도달하도록 해.
- 망막에는 중심와(간상체 없음, 추상체만 있음)와 맹점(수용기 세포가 없음)이 있어. 맹점에 상이 맺히면 보이지 않아.
- 빛의 강도에 따라 수용기의 민감도가 낮아지는 과정에서 암적응과 명적응 현상이 나타날 수 있어.
* 각막
- 눈의 앞쪽에 위치하며 투명한 조직이야.
- 빛은 여기로부터 들어와서 굴절되어 상을 형성하기 시작해.
* 수양액
- 투명한 액체로 각막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해.
- 새로운 수양액이 계속 생성되기 때문에 오래된 수양액은 눈 밖으로 빠져나가야 해. 그렇지 않으면 안구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서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어.
* 수정체(렌즈)
- 빛을 망막에 모아주는 역할을 해.
- 가까운 대상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두꺼워지고, 먼 대상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얇아져.
- 근시인 사람들은 수정체가 멀리 떨어진 대상에 초점을 맞출 수 있을 만큼 얇아지지 않아. 반대로 원시인 사람들은 수정체가 가까운 대상에 초점을 맞출 수 있을 만큼 두꺼워지지 않아.
* 모양근
- 수정체의 두께를 조절하는 근육이야.
* 동공
- 홍채 중앙에 있는 검은 구멍으로, 빛의 수준에 반응해서 지름이 변하는 동그란 구멍이야.
- 어두운 곳에서는 커지고 밝은 곳에서는 작아져. 이렇게 빛의 수준에 관계없이 상의 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양의 빛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줘.
- 일정한 양의 빛이 들어와야 감각기관을 작동시킬 수 있어. 이 때 필요한 최소 에너지를 절대식역치라고 해.
* 초자액
- 안구가 둥근 모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투명한 액체야.
- 안구가 길쭉하게 되면 근시일 가능성이 높고, 얄팍하게 되면 원시일 가능성이 높아.
-끝!!!-
이렇듯 시각은 우리에게 삶의 질과 경험을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보석과 같아.
시각 기관의 중요성을 깊이 이해 후 그 가치를 올바로 인지하여 적절한 관리와 보호를 통해 우리의 눈을 지켜야 하겠지?
오늘도 너무 고생 많았어
'학문 >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각의 특징 촉각의 특징 (0) | 2023.05.21 |
---|---|
청각의 특징 후각의 특징 (0) | 2023.05.20 |
의식의 종류, 수면 장애 종류, 꿈의 주요 특징? (0) | 2023.05.19 |
신경계의 구성?(체성신경계/자율신경계/중추신경계) (0) | 2023.05.19 |
뉴런의 구조? 뉴런의 주요 종류 (0) | 2023.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