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문/심리학개론

뉴런의 구조? 뉴런의 주요 종류

by 쉽게 가르쳐주는 2023. 5. 18.

 

오늘은 신경계 정보전달이 이루어지게 만드는 뉴런에 대해 배울거야

신경계의 기본 세포이며 행동과 가장 밀접관 관련을 가지고 있어 과학자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는 대상이기도해 

 

그럼 들어가보자!!

 

 

1. 신경계의 정보전달 = 뉴런

- 뉴런은 신경계의 기본 세포야. 행동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어.
- 뉴런은 다른 뉴런, 내분비선이나 근육에 신경충동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특화된 세포야.
- 뉴런은 빠른 전기적 변화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어. 환경 자극에 빠르게 대응하는 거지.
- 그런데 한 번 손상되면 재생되지 않아. 

 - 수상돌기는 다른 뉴런으로부터 정보를 받아서 세포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해.
 - 세포체는 뉴런의 가장 큰 부분이야. 세포핵을 포함하고 있어서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어.
 - 축색은 정보를 다른 뉴런이나 근육, 내분비선으로 전달해.
 - 축색은 수초로 둘러싸여 있고, 그 사이에는 작은 공백인 란비어 마디가 있어.
 - 종말단추는 실제로 인접한 뉴런과 직접적인 접촉은 없어. 종말단추와 수신 뉴런의 세포체나 수상돌기 사이에는 약간의 공간이 있어. 그 공간을 시냅스 공간이라고 해.
- 뉴런의 정보전달은 수상돌기 → 세포체 → 축색 → 종말단추로 이루어져.
- 신경충동은 축색을 따라 내려와 종말단추에 도달하면 시냅스 공간으로 퍼져 나가서 다음 뉴런을 자극하는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해.
- 축색은 여러 뉴런으로부터 뻗어나온 거야. 하나의 뉴런의 수상돌기와 세포체에 대해 시냅스를 형성해.


2. 뉴런의 주요 유형

뉴런은 모양과 크기가 다양해. 예를 들면, 감각 뉴런은 척수에서 엄지발가락까지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길이가 약 1미터 정도일 수도 있어. 반면 소뇌의 뉴런은 작고 복잡한 연결망을 가지고 있어.

종류를 정리하자면

 

(1) 감각뉴런
- 수용기로부터 받은 충동을 중추신경계에 전달해
- 감각기관, 근육, 치부, 관절에 특화된 세포로, 신체적이나 화학적인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충동으로 전환해

(2) 수용기
- 감각기관, 근육, 치부, 관절에 있는 전문화된 세포로, 신체적이나 화학적인 변화를 감지해 충동으로 변환해 줘

(3) 운동뉴런
- 뇌나 척수에서 외부로 나가는 신호를 근육이나 분비선까지 전달해

(4) 중간뉴런
- 감각뉴런과 운동뉴런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중추신경계와 주로 눈에서 발견돼

(5) 신경
- 수백이나 수천 개의 뉴런으로부터 연장된 축색의 다발을 말해.

(6) 핵
- 뉴런의 세포체 집단을 뇌와 척수에서 가리켜

(7) 신경절
- 뉴런의 세포체 집단으로, 뇌와 척수 이외의 곳에서 발견돼.

(8) 교세포
- 뉴런에 부착되어 있는 비신경세포로, 뉴런보다 많고 뇌 부피의 반 이상을 차지해.
- "교(Glia)"는 그리스어로 "접착제(Glue)"를 의미하는데, 뉴런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
- 뉴런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수집하거나 죽은 뉴런과 이물질을 흡수해 뇌에서 청소를 하는 역할을 함. 이로 인해 뉴런의 신호전달 기능이 유지돼.

(9) 활동전위
- 세포체에서 축색의 종말까지 전해지는 전기화학적인 충동을 의미해.
- 이온이라는 전하를 가진 분자들이 뉴런 내외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운동의 결과임.


3. 뉴런의 손상과 재생

- 뉴런은 한 번 손상되면 재생되지 않아. 그래서 뇌손상이나 척수손상은 영구적인 영향을 남길 수 있어.
- 그러나 일부 뉴런들은 손상을 입었을 때 약간의 회복이 가능한 경우도 있어. 이는 주변 뉴런들이 손상된 뉴런의 역할을 대신하는 등의 복구 과정에 의해 가능해질 수 있어.

 

빙이 만들어준 ai 뉴런 이미지

 

뉴런 그 자체가 흥미롭고 신기해

모든게 신경전달물질로 이루어지며 전기적 신호를 통해 빠르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환경 자극에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 참 신기하지 않아?

 

오늘도 너무 고생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