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가 매운 음식을 먹을 때, 톡 쏘는 맛과 뜨거움을 느낄 때, 우리의 미각은 활기차게 느끼지?
미각만 중요할까? 촉각도 중요해
따뜻한 햇볕 아래에서 바람이 부는 것을 느낄 때, 우리는 피부를 통해 편안함을 느끼지?
오늘은 미각과 촉각의 특징에 대해 정리할거야 잘 따라와!

*미각
- 미각은 혀에서 담당해.
- 미각을 담당하는 감각 수용기는 주로 혀의 유두와 연구개에 존재하는 미뢰야.
- 사람의 혀에는 약 3,000~10,000개의 미뢰가 있어.
- 혀에는 모상유두, 이상유두, 엽상유두, 유곽유두의 4 종류의 미뢰가 있어. 가장 많이 분포하는 모상유두에는 미뢰가 없어서 맛이 아닌 촉각을 담당해.
- 미각은 특정 물질만 맛을 결정하지 않아.
- 유전적인 요소와 경험도 맛에 영향을 줘. 예를 들면, 카페인과 사카린의 쓴맛에 대한 민감도는 유전적으로 결정되는 것 같아. 경험도 중요한 역할을 해.
- 인도의 카르나타카 지방에 사는 사람들은 신맛이 나는 음식을 좋아하고, 구연산과 키니네(토닉워터)의 맛을 매우 좋게 느끼는 경향이 있지만, 대부분의 서구인은 그 반대로 경험해. 서구에서 자란 인도인들도 구연산과 키니네를 불쾌한 맛으로 경험해.
- 미각 자극에 대한 민감도는 혀의 위치에 따라 다르지.
- 짠맛이나 단맛은 혀끝, 신맛은 혀의 가장자리, 쓴맛은 연구개가 가장 민감해.
- 혀의 중앙은 맛에 둔감해.
- 미각 경험은 수용기 활동뿐만 아니라 음식에 대한 우리의 기대에도 영향을 받아.
- 예를 들어, 프라스만 등(2008)은 연구에서 10달러와 90달러로 표시한 와인을 주고 맛을 물었는데, 참가자들은 비싼 와인이 더 맛있다고 지각했어.
*촉각
1. 압각
- 압각은 피부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압력이야.
- 몸 전체에 가해지는 지속적인 압력(공기 압력)은 자각하지 못하지만, 피부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는 인지할 수 있어.
- 입술, 코, 뺨은 매우 민감하고, 엄지발가락은 매우 둔감해. 이는 그 부위의 수용기 수와 관련이 있어.
- 경험에 쉽게 순응해.
- 익숙한 사물은 만져도 쉽게 인지할 수 있어.
2. 온각
- 온각은 피부의 온도를 말해. 수용기는 피부 바로 아래에 있는 뉴런이야.
- 체온을 유지하는 것은 생존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작은 온도 변화도 인지할 수 있어야 해.
- 피부 온도가 정상일 때, 섭씨 0.4도 상승과 0.15도 저하를 인지할 수 있어.
- 한편, 우리의 온도 감각은 온도 변화에도 빠르게 적응하기 때문에 2-3분이면 어떤 자극도 차가움이나 뜨거움으로 느껴지지 않아.
3. 통각
- 통각은 고통스러울 수도 있지만, 우리의 안전과 생존에 꼭 필요한 감각이야.
- 조직 손상을 일으킬만큼 강한 자극은 모두 통각 자극이야.
- 고통의 질은 부상을 입으면서 즉시 느끼는 위상성 통증과 부상 후에 경험하는 긴장성 통증으로 나뉘어져. 이 두 가지 고통
은 서로 다른 신경 경로를 통해 발생하고 다른 피질 부위에 도달해.
- 고통은 감각 수용기의 문제뿐만 아니라 마음의 문제일 수도 있어.
-끝-
고추만 먹으면 온몸에서 매운맛을 느끼거나 심지어 매워서 땀이 나는 현상을 체험한 적 있을 거야.
매운 음식을 먹으면 미뢰를 자극해.
하지만 우리가 느끼는 매운맛은 미뢰가 느끼는 맛이 아냐.
매운맛이 혀에 닿아 대뇌에 신호를 보내면 대뇌가 분석한 후에 얼얼한 느낌과 통각의 혼합물로 도출해.
우리가 불닭볶음면을 먹으면 맵다고 느끼는건 미각 때문이 아닌 통각 때문인거지!
신기하지? 오늘도 고생많았어

'학문 >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의 특징(둔감화/민감화/연합학습/비연합학습) (0) | 2023.05.22 |
---|---|
지각과정이란? (지각 조직화/집단화의 원리/전경-배경 분리/지각 항등성) (0) | 2023.05.21 |
청각의 특징 후각의 특징 (0) | 2023.05.20 |
시각기관의 특징과 시각처리 순서(초자액/망막/각막/수양액/수정체/모양근) (1) | 2023.05.20 |
의식의 종류, 수면 장애 종류, 꿈의 주요 특징? (0) | 202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