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들어봤을거야?(나만 들어봤을수도있고..)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지 않고 그대로 냅두어버리면 며칠 지나서 까먹지?
1일만 지나도 70%이상 망각되고 학습 후 10분이 지나면 망각이 시작된다는 것을 밝혀낸 독일의 심리학자야
오늘은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과 기억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 과정에 대해 배울거야
그럼 들어가볼까?

* 기억의 정의 및 기능?
1. 기억의 정의: 기억은 정보를 부호화하여 저장하고 인출하는 능력으로, 일종의 정보처리과정이야.
2. 기억의 기능: 개인적이고 집단적인 과거에 의식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주고, 매일 매일의 경험에 연속성을 줘.
*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최초의 기억 연구는 1885년 헤르만 에빙하우스(독일의 심리학자)가 망각에 관한 논문을 출간한거야
에빙하우스는 인간의 기억에 대해 최초의 엄격한 실험적 연구를 진행했어.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에서는 학습 후 처음에는 망각이 급격하게 일어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망각은 천천히 진행되는 것을 발견했어.
망각으로부터 기억을 유지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복습이 있어, 짧은 시간에 집중된 여러 번의 반복보다는 긴 시간 동안 여러 번의 반복으로 학습을 하면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어.
* 기억의 과정
1. 부호화(encoding) - 기억입력
- 우리가 지각하고, 생각하고, 느끼는 것을 지속적인 기억으로 변환하는 과정이야.
- 기존 정보와 새로운 정보가 결합되어 기억이 형성되는 거야.
- 의미 부호화: 새로운 정보를 이미 있는 지식과 의미에 연결시켜 기억에 저장하는 과정이야.
이 과정은 뇌의 하전두엽과 좌측 측두엽 내부의 활성화와 관련돼.
- 시각적 심상 부호화: 새로운 정보를 정신적인 그림으로 바꿔서 저장하는 과정이야.
이 과정은 후두엽의 시각처리 영역의 활성화와 관련돼.
- 조직적 부호화: 일련의 항목들 간의 관계를 인식하여 정보를 범주화하는 과정이야. 이 과정은 좌측 전두엽의 위쪽 표면 활성화와 관련돼.
- 생존 부호화: 생존과 번식에 도움이 되는 정보는 더 잘 기억되는데, 의미 부호화, 시각적 심상 부호화, 조직적 부호화보다 높은 수준에서 기억되는 거야.
2. 저장(storage) - 기억 보존
- 시간이 지나도 정보를 유지하는 과정이야.
- 중장기기억 시스템은 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으로 구성돼.
- 감각기억(작업기억): 감각 정보를 몇 초 동안 유지하고 저장하는 유형의 기억이야.
- 감각 기억은 시각 기억과 음향 기억으로 나뉘는데, 시각 기억은 1초 이내로 유지되고(스펄링 실험, 1960년), 음향 기억은 약 5초까지 유지될 수 있어.
- 단기기억: 비감각적인 정보를 1분 정도까지 유지해주는 곳이야.
- 단기기억에는 정신 조작을 받은 정보는 계속 유지되거나 장기기억으로 전이되지만, 그렇지 않은 정보는 다른 정보로 대체되는 거야.
- 대략 15-20초 동안 단기기억이 유지될 수 있어.
- 장기기억: 몇 시간, 며칠, 몇 주 혹은 몇 년 동안 정보를 유지하는 곳이야.
- 장기기억은 용량이 거의 무한대이며, 단기기억의 정보 중 정신 조작을 받은 정보가 저장돼.
- 장기기억은 비교적 오랫동안 유지되는데, 짧게는 수분, 길게는 수십 년에 이르는 장기적인 기간 동안 계속 유지될 수 있어.
3. 인출(retrieval) - 기억 회상
- 이전에 부호화되고 저장된 정보를 끄집어내는 과정이야.
- 기억 회상은 모든 기억 처리 과정 중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이야.
-끝-

'학문 >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각의 원인과 특성 및 기억력 향상 방법 (0) | 2023.05.26 |
---|---|
외현기억 VS 암묵기억 차이 및 장기기억 회상(설단현상/인출단서/인출결과/상태의존인출) (4) | 2023.05.25 |
생활 속의 조작적 조건화에는 무엇이있을까? +고전적 조건 형성 VS 조작적 조건 형성 (0) | 2023.05.24 |
강화물의 유형과 강화계획(고정간격/변동간격/고정비율/변동비율 강화계획) (0) | 2023.05.24 |
쏜다이크 효과의 법칙과 스키너의 상자(강화/처벌/효과적 처벌 방법) (0) | 2023.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