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작적 조건화란?
조작적 조건화란, 어떤 행동이 학습되는 것이 그 행동의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해.
즉, 유기체가 자신의 행동과 그 결과 사이의 관계를 학습하는 것을 말해.
* 쏜다이크와 효과의 법칙
쏜다이크는 1898년에 찰스 다윈의 책에서 영감을 받아 동물의 지능에 대해 연구하려고 했어.
하지만 그는 실험을 통제하기 위해 "문제 상자"라고 불리는 장치를 고안했어.
이 상자에는 작은 널빤지가 있고, 널빤지를 밟으면 빗장이 열리도록 되어 있었어.
쏜다이크는 배고픈 고양이를 상자에 넣고 상자 바깥에 생선토막을 놓았어.
그 결과 고양이는 생선토막을 먹기 위해 다양한 행동을 시도한 후 우연히 빗장을 건드려서 밖으로 나가서 생선토막을 먹게 되었어.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고양이는 상자에 들어가자마자 빗장을 열어서 생선토막을 먹을 수 있는 방법을 배우게 되었어.
이렇게 쏜다이크는 동물이 통찰이나 문제해결로 학습하는 인간과는 달리 시행착오적으로 학습한다는 결론을 내렸어.
- 효과의 법칙: 효과의 법칙은 어떤 반응의 강도가 그 반응이 과거에 초래한 결과에 의해 결정된다는 원리야.
다시 말해서, 무작위한 반응 중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반응들만 선택하게 되는 거야.
* 스키너와 조작행동
스키너는 1938년에 버러스 F. 스키너라는 사람이 동물의 자발적인 행동을 연구하기 위해 지렛대를 사용했어.
스키너는 비어있는 상자에 지렛대를 설치하고 쥐나 비둘기를 넣은 후 행동을 관찰했어.
지렛대는 먹이통과 연결돼 있어 동물이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상자 안으로 나오도록 만들어진 거야.
그래서 쥐가 레버를 누를 때 먹이를 받게 되면서 레버 누르기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거야.
스키너는 동물의 이러한 반응을 환경을 조작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조작행동이라고 불렀어.
참고로 스키너의 상자는 이런식이야
* 강화와 처벌
강화와 처벌을 일으키는 자극을 각각 강화물과 처벌물이라고 해. '좋아 보이는 것'이라도 행동을 증가시키지 않으면 강화물이 아니야.
반면에 '혐오적인 것'으로 보이더라도 행동을 증가시키면 강화물로 간주돼.
1. 강화
강화는 특정한 반응을 증가시키는 절차야.
- 정적강화: 자극의 출현으로 반응을 증가시키는 것 (예: 칭찬을 받아서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
- 부적강화: 자극의 제거로 반응을 증가시키는 것 (예: 비가 맞지 않게 우산을 사용하는 것)
2. 처벌
처벌은 특정한 반응을 약화시키는 절차야.
- 정적처벌: 자극의 출현으로 반응을 감소시키는 것 (예: 난로에 손을 댔을 때 고통이 생기면 손을 대지 않는 것)
- 부적처벌: 자극의 제거로 반응을 감소시키는 것 (예: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서 수당을 받지 못하는 것)
그러면 효과적인 처벌 방법엔 뭐가 있을까?
> 효과적인 처벌 방법
- 가능한 빠르게 처벌을 해야 해. 강화를 지연시키면 효과가 감소하듯이 처벌을 지연시키면 효과가 없어져.
- 처벌의 세기가 효과적이어야 해. 처벌이 강할수록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을 약화시키는 데 효과적이지만,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져.
- 처벌은 일관성을 가져야 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처벌을 해야 해. 간헐적인 처벌은 혼란을 초래할 뿐이야.
- 처벌의 이유를 설명해야 해. 특정 행동을 처벌할 때 가능하면 그 이유를 자세히 설명해 주어야 효과적이야.
- 대안적인 반응을 제시하고 강화해야 해. 처벌은 특정 행동을 막는 것뿐만 아니라 대안적인 바람직한 행동을 제시해줘야 해.
예를 들어, 아이들의 문제 행동은 부모의 주의를 받기 위한 것인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에는 부모가 주의를 받을 수 있는 다른 바람직한 행동을 제시하고 강화함으로써 문제 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어.
- 신체적인 처벌은 최소화해야 해.
아이가 어려워서 언어적인 처벌이나 꾸중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에만 신체적인 처벌이 효과적이야.
체벌은 손이나 손으로 가볍게 때리는 것만으로 충분해. 체벌은 가능한 한 피하는 게 좋아.
왜냐하면 체벌은 공격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고, 효과가 기대한 만큼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어.
게다가 아이들은 심한 체벌을 받아도 시간이 지나면 잊어버리는 경향이 있는데, 오히려 소중히 여기는 특권을 철회하면 아이들은 그 특권을 되찾기 위한 방법을 생각하게 되므로 더 효과적일 수 있어.
강화와 처벌 참 신기하지?
'학문 >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 속의 조작적 조건화에는 무엇이있을까? +고전적 조건 형성 VS 조작적 조건 형성 (0) | 2023.05.24 |
---|---|
강화물의 유형과 강화계획(고정간격/변동간격/고정비율/변동비율 강화계획) (0) | 2023.05.24 |
자극일반화와 자극변별 / UCS, CS, CR? (0) | 2023.05.23 |
고전적 조건 4가지(파블로프의 개/빈도/근접성/일관성/소거/자발적회복) (0) | 2023.05.22 |
학습의 특징(둔감화/민감화/연합학습/비연합학습) (0) | 202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