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오늘은 심리학의 초기학파에 대해 알아볼거야
심리학 초기 학파는 다양한 이론과 접근 방식으로 인간의 정신과 행동을 이해하려고 노력했어. 이 초기 학파들은 서로 다른 관점과 강조하는 요소들을 가지고 있었지 이들에 대해 알기 쉽게 정리해봤어
1. 구조주의(구성주의) 심리학
- 마음은 여러 가지 구성요소의 결합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해.
- 분트와 티치너는 의식의 구조를 자연과학적으로 연구하려고 노력했어.
- 내성법을 사용해서 의식의 내용을 엄격하게 분석할 수 있고, 그렇게 하면 마음이나 의식을 이해할 수 있다고 믿었어.
- 의식경험을 객관적인 감각경험과 주관적 느낌으로 세분해 보는 것을 목표로 했어.
2. 기능주의 심리학
- 의식이나 정신과정은 나눌 수 없는 하나의 상태로 보았어.
- 제임스는 구성주의 심리학을 비판하고 의식의 전체적 기능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어.
- 의식의 기능에 관심을 갖고, 배가 고플 때 음식을 찾는 행동과 같은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어.
- 듀이는 제임스의 견해를 동의하고 기능주의 심리학을 발전시켰어.
3. 행동주의 심리학
- 인간의 행동을 관찰하고 측정할 수 있는 행동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어.
- 왓슨은 행동주의 심리학의 창시자로, 인간의 행동을 자극과 반응의 관계로 설명했어.
- 왓슨은 극단적인 행동주의 심리학자로 알려져 있고, 강화를 통해 생물들이 특정 행동을 학습한다고 주장했어.
- 스키너는 행동주의를 발전시키며, 강화를 통해 너구리가 농구를 할 수 있도록 학습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어.
4. 형태주의 심리학
- 마음이나 의식을 요소나 부분의 합보다는 조직화된 전체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어.
- 베르트하이머, 코프카, 쾰러가 게슈탈트 심리학을 창건했어.
- 구성주의를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했어.
- 게슈탈트 심리학에서는 의식을 전체적인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어.
정신분석
- 인간행동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무의식에서의 동기와 갈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학파야
-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 – 1939)에 의해서 창시된 성격이론이며 정신치료법이야 다른 학파와는 아주 다른 입장을 취했다고 보면 돼
- 무의식이 프로이트 이론의 중심. 금지되거나 처벌될 것 같은 소망은 우리의 의식적 자각에서 추방되어 무의식의 한 부분이 되는데, 그것들은 무의식에서 계속 우리의 사고, 감정 그리고 활동에 영향을 준다고 믿어
- 무의식적인 사고는 꿈, 말할 때 하는 실수 등으로 표현된다고 해
- 실험실에서 연구하던 다른 심리학자들과는 달리 프로이트는 직접 환자들과의 임상적 면접을 통해 사고, 정서 및 행동에 대해 이해해
- 프로이트는 인간행동의 결정은 의식적 사고보다는 무의식적 과정, 특히 원초적인 성충동과 공격성이 더 큰 역할을 한다고 봤어(이로 인해 초기엔 널리 수용되지 못함) - 환자에게 자유연상법을 사용하여 치료해
- 인간 행동의 밑바닥에는 무의식적인 성격의 기본역동성이 있으므로 정신역학이라고도 불러
프로이트 참 멋있게 생겼지?
오늘은 여기까지할게 모두 고생했어

'학문 >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런의 구조? 뉴런의 주요 종류 (0) | 2023.05.18 |
---|---|
과학적연구 충족 조건과 기술적 연구 방법의 종류 6가지 (0) | 2023.05.18 |
기초심리학 VS 응용심리학 차이 및 음용심리학 종류(임상심리/상담심리/산업 및 조직심리/사회심리 등) (0) | 2023.05.17 |
현대 심리학의 5가지 관점(생물학적/행동주의적/인지적/정신분석적/인본주의적 관점) (0) | 2023.05.17 |
심리학의 정의와 목표, 심리학의 역사적 기원에 대해 쉽게 알아보자 (0)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