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문/회계원리

환차손 VS 환차익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by 쉽게 가르쳐주는 2023. 12. 16.


환차손/환차익은 기업이 외화 자산이나 부채를 보유할 때 발생하는 환율 변동에 따른 이익 또는 손실을 나타냅니다. 이는 주로 회계적 환위험에 해당하며, 회계 처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정 상황을 나타냅니다.

환율은 언제든 변동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이 외화 거래를 하게 되면 자산과 부채의 가치가 환율 변동에 따라 변동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이익이나 손실을 환차익과 환차손으로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한 기업이 외화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해당 외화자산의 가치는 환율의 상승과 하락에 따라 변동합니다.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외화자산을 자국 통화로 평가할 때 높은 가치를 얻을 수 있으므로 환차익이 발생합니다. 반대로 환율이 하락하면 외화자산을 자국 통화로 환산할 때 낮은 가치를 얻게 되어 환차손이 발생합니다.

 

환차익과 환차손은 주로 회계처리에서 나타나며, 다양한 회계원칙과 규정에 따라 적절한 방식으로 처리됩니다. 이는 기업이 해외지사나 자회사의 재무제표를 모기업의 재무제표와 연결시키기 위한 과정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환차손/환차익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기업은 내부적으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리드앤드래그, 매칭, 자산부채관리 등은 기업이 내부적으로 환위험을 최소화하는데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또한, 외부적으로는 은행과의 외환파생상품을 활용한 대응거래도 일반적으로 활용됩니다.

 

환차손/환차익은 기업의 금융 거래에서 자주 다뤄지는 주제로, 기업은 안정적인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고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됩니다. 다양한 금융상품과 전략을 활용하여 기업은 환율 변동에 대응하고 이를 경제적 이익으로 전환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