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문/경영정보시스템

비콘(Beacon) 기술에 대해 알아보자(개념/작동 원리/구조/활용 분야/특징/관련 용어 30가지)

by 쉽게 가르쳐주는 2023. 7. 25.

*비콘(Beacon) 기술이란?

비콘 기술이란, 블루투스 기술의 일종이야. 작은 전파 송신기를 사용해서 주변에 있는 스마트폰이나 다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상호작용하게 만드는 기술이지. 주변 디바이스에 정보를 보내고 받을 수 있고, 근거리에서 통신이 가능해. 비콘은 저전력으로 동작해 배터리 소모가 적어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 주로 위치 기반 서비스, 마케팅, 상점 내 안내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어.

*비콘(Beacon)의 작동 원리

1. 비콘은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기술을 사용해 작동해. BLE는 저전력으로 동작하여 배터리 소모가 적어 비콘을 오래 사용할 수 있게 해줘.

2. 비콘은 매우 작은 전파 송신기로, 주변 디바이스에 무선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송해. 이 신호를 '비콘 신호'라고 해.

3. 스마트폰이나 다른 디바이스는 비콘의 신호를 감지하면서 주변에 있는 비콘을 인식해.

4. 디바이스는 비콘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비콘과의 거리에 따라 신호 세기를 계산해. 이를 이용해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5. 비콘은 고유한 ID를 가지고 있어, 인식된 비콘의 ID를 통해 어떤 비콘과 상호작용하는지 판별할 수 있어.

6. 디바이스는 인식한 비콘의 ID를 활용하여 특정 앱을 실행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보내주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이런 방식으로 비콘이 주변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고,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게 돼.

 

*비콘(Beacon)의 구조

1. 송신기 (Transmitter): 작은 전파 송신기로, 주기적으로 블루투스 신호를 발송한다.

2.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기술: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하여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비콘 신호 (Beacon Signal): 주변에 무선 신호를 발송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4. 디바이스 감지: 스마트폰이나 다른 디바이스가 비콘의 신호를 감지하면서 상호작용한다.

5. 거리 측정: 디바이스는 비콘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거리에 따라 신호 세기를 계산한다.

6. 고유한 ID: 각 비콘은 고유한 ID를 가지고 있어, 인식된 비콘을 구분할 수 있다.

7. 서비스 제공: 인식된 비콘의 ID를 활용하여 디바이스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비콘(Beacon)의 활용분야

1. 소매업 및 마케팅: 상점 내에서 할인 정보나 프로모션을 제공하여 고객 유치와 매출 증대에 활용된다.

2. 전시회와 박람회: 전시장 내에서 부스 안내, 전시품 정보 제공 등으로 방문자들의 편의를 도모한다.

3. 문화시설 및 박물관: 전시물 설명이나 오디오 가이드를 제공하여 관람객의 이해를 돕는다.

4. 교통 시설과 공공 장소: 공항, 역, 버스 정류장 등에서 승객 정보 제공과 안내에 활용된다.

5. 학교와 교육 기관: 학교 내 공지사항, 학사 일정 등의 정보를 학생과 교직원에게 제공한다.

6. 호텔과 관광지: 방 정보, 관광 안내, 이벤트 소식 등을 관광객에게 제공한다.

7. 스포츠 경기장: 경기 일정, 좌석 안내, 스포츠 선수 소개 등을 관중에게 제공한다.

8. 의료 시설: 환자 정보 관리, 약물 투여 알림 등으로 의료 서비스를 개선한다.

9. 자동차 산업: 자동차 안전 시스템, 자동차 로그인 등으로 차량의 편리성을 높인다.

10. 스마트 홈: 가정 내에서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여 편리하고 자동화된 생활을 지원한다.

 

*비콘(Beacon)의 특징

1. 저전력: 비콘은 블루투스 저에너지(BLE)를 사용하여 저전력으로 동작하며, 배터리 수명이 오래 간다.

2. 작은 크기: 비콘은 소형이고 경량으로, 이동성이 뛰어나고 쉽게 설치할 수 있다.

3. 간단한 구조: 비콘은 간단한 송신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잡한 설치 과정 없이도 운용할 수 있다.

4. 근거리 통신: 비콘은 근거리 통신 기술이므로 사용자와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적합하다.

5. 위치 기반 서비스: 비콘은 주변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6. 개인화된 서비스: 비콘은 디바이스의 고유 ID를 활용하여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7. 다양한 응용 분야: 비콘은 소매업, 교육, 문화시설, 교통,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적용 가능성이 높다.

8. 실시간 인식: 비콘은 주변 디바이스를 실시간으로 인식하므로 빠른 응답과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9. 비교적 저렴한 비용: 비콘 기술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어 기업과 기관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10. 개인 정보 보호: 비콘은 기기 간 통신에만 사용되며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대응 방안이 마련돼 있다.

 

*비콘(Beacon) 관련 용어 30가지

1. BLE (Bluetooth Low Energy):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로, 비콘은 BLE를 이용해 무선 통신한다.

2. 송신기 (Transmitter): 비콘은 작은 송신기로, 블루투스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송한다.

3. 수신기 (Receiver):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디바이스는 비콘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호작용한다.

4. 비콘 신호 (Beacon Signal): 비콘이 발송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말해, 주변 디바이스에 감지되는 기본 신호이다.

5. 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비콘은 UUID를 가지고 있어, 고유한 식별자로 디바이스와 구분한다.

6. Major 값: 비콘에서 UUID와 함께 사용되며, 비콘 그룹을 구분하는 데에 사용된다.

7. Minor 값: 비콘에서 UUID와 함께 사용되며, 특정 비콘을 구분하는 데에 사용된다.

8. 거리 측정 (Distance Measurement): 디바이스는 비콘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근접도를 파악한다.

9.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비콘 신호의 수신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거리 측정에 사용된다.

10. 근거리 통신 (Proximity Communication): 비콘이 주변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것을 말한다.

11. 비콘 범위 (Beacon Range): 비콘이 감지되는 거리를 의미하며, 주변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 범위를 말한다.

12. 동작 주파수 (Operating Frequency): 비콘이 동작하는 주파수로, 일반적으로 2.4GHz를 사용한다.

13. 블루투스 모듈 (Bluetooth Module): 비콘이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모듈이다.

14.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Smartphone Application): 비콘과 상호작용하는 앱으로, 비콘 신호를 감지하고 처리한다.

15.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과 함께 사용되는 또 다른 근거리 통신 기술로, 간단한 데이터 교환에 사용된다.

16. 개인화된 서비스 (Personalized Service): 비콘이 각 디바이스에 맞게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17. 비콘 플랫폼 (Beacon Platform): 비콘 기술을 구현하고 관리하는 플랫폼으로, 비콘 데이터를 처리한다.

18. 비콘 엔진 (Beacon Engine): 비콘 신호를 감지하고 해석하는 소프트웨어로, 위치 기반 서비스에 사용된다.

19. Eddystone: Google에서 개발한 오픈 소스 비콘 프로토콜로, 다양한 비콘 기능을 제공한다.

20. iBeacon: Apple에서 개발한 비콘 프로토콜로, iOS 기기와 통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21. 위치 기반 서비스 (Location-based Service): 비콘의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위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22. Geofencing: 지리적 경계를 설정하여, 특정 지역에 도달하거나 이탈할 때 알림을 보내는 서비스를 말한다.

23. Push 알림 (Push Notification): 비콘과 연동된 앱이 사용자에게 메시지나 알림을 보내는 기능이다.

24. 콘텐츠 제공 (Content Delivery): 비콘을 이용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25. 비콘 위치 파악 (Beacon Locationing): 디바이스가 비콘의 위치를 파악하여 실시간 위치를 판별하는 기술이다.

26. Beacon Tag: 비콘이 부착된 태그로, 특정 물체나 장소에 비콘을 설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27. Beacon Gateway: 비콘 신호를 수집하고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이다.

28.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앱과 비콘 플랫폼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29. SDK (Software Development Kit): 비콘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개발 도구로, 앱 개발자들에게 제공된다.

30. 빅데이터 분석 (Big Data Analysis): 수집된 비콘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행동과 경향을 파악하는 기술이다.